본문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크리에이터 라이프사이클

by 스프라우트 2022. 2. 28.

흥미로운 글이 있어 소개합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 관한 블로그인 Arm the Creators를 운영하는 Hugo Amsellem이 쓴 글입니다.

Hugo Amsellem
Hugo Amsellem (@HugoAmsellem) / Twitter

그는 Arm the Creators에서 크리에이터의 정의와 크리에이터 Life-Cycle에 대해 심도 깊게 다루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그의 블로그에서 일독을 권합니다.

 아래 글은 그의 블로그 글의 요약본입니다.


크리에이터의 정의

 휴고 암셀렘은 크리에이터를 창작하는 사람이라기 보다는, 허락받지 않고 확장하는 개인이라고 정의합니다.

"Scales without permission"이라는 말이 어려운데요,

그는 크리에이터를 만드는 3가지 요소를 통해 크리에이터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1. 개성 (Individuality)

크리에이터는 재능이나 열정보다는 매우 특정한 분야에 이상하게 잘하는 개성이 중요합니다.

ASMR이나 미니어처 요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니치한 분야에 열중하고, 그곳에서 최고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레버리지 (Leverage)

크리에이터는 인터넷 기반 레버리지를 통해 스스로를 확장합니다.

재생산의 한계 비용이 0이므로, 타인의 개입 없이도 자신의 노력을 배가시킬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잠을 자고 있어도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일반적인 프리랜서나 지식 근로자와 다른 근본적인 차별점입니다.

크리에이터는 자신의 시간을 빌려주지 않으니까요.

3. 반항 (Rebellion)

크리에이터는 더 이상 누구의 허락을 구할 필요가 없습니다.

전통적인 게이트키퍼를 우회해 일반 대중에게 직접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아티스트는 레이블이 없어도 수십억의 청취자를 모을 수 있고, 유튜버는 TV 없이 비디오 제국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팟캐스터는 더이상 라디오 방송국이 필요 없으며, 교육 코스 제작자는 대학이 아니어도 글로벌하게 교실을 만들 수 있습니다. Writer, 작가나 기자는 더 이상 신문사에 얽매일 필요가 없습니다.

 이들은 안전을 자유와 바꾼 사람들이며, 스스로 오너십을 갖기에 기업가입니다.

 이제야 허락받지 않고 확장하는 개인이라는 말이 이해가 가네요.

반항적이기에 기존의 권력에 허락을 받지 않으며, 인터넷 기반 레버리지로 무한히 확장을 하는,
개성을 표출하는 개인이 크리에이터입니다.

 그의 다음과 같은 말이 인상적입니다.

The Creator Economy isn't primarily about the future of work, it's primarily about the future of (scalable) entrepreneurship.

크리에이터 라이프사이클 (Creator Lifecycle)

성공적인 제작자는 어떻게 청중을 제국으로 변화시키는가?

제작자로서 가장 소중한 자산은 청중과의 관계입니다.

그는 청중과의 관계를 통해 크리에이터 라이프사이클을 주의, 신뢰, 상업 및 소유권의 4단계로 나누었습니다.

creator lifecycle
source : HugoAmsellem for ArmTheCreators.com

1. 관심 (Attention)

청중과의 관계는 관심에서 시작합니다.

YouTube 추천 사이드바의 미리보기, 입소문을 탄 트윗, TikTok 피드의 알고리즘 추천 등 어디서나 올 수 있습니다.

원래 관심을 끄는 데는 큰 돈이 들기 마련이지만, 우리는 무료에 대한 대가로 청중을 임대하고 있습니다.

이 단계는, 대규모 파티에서 모르는 누군가를 만나는 것과 비슷합니다. 파티의 주최자는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 미며, 우리는 파티에 참석한 사람들을 만나는 대가로 청중의 관심을 다른 브랜드에 임대해 주고 수익을 얻습니다.

예, 광고 수익입니다. 내 블로그의 배너 광고, 유튜브 프리롤 광고, 후원 콘텐츠 등이 그것입니다.

 대부분의 크리에이터가 목적으로 하던 것이 단지 1단계일 뿐입니다.

2. 신뢰 (Trust)

파티에서 관심을 얻었으면 그 다음 단계는 전화번호를 교환해야죠. 아니면 명함을 받거나요.

 신뢰는 관계를 소유하기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의 초대형 파티장에 참석한 사람들을 자신만의 파티장으로 이끌어와야 합니다.

 이메일이나 전화번호 수집, 멤버십 기반 비공개 커뮤니티를 생성해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자를 모아 유료 뉴스레터를 발간하거나, 정기 기부나 후원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혹은 개인 커뮤니티 멤버십 자체를 유료화할 수도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연락처를 얻고 커뮤니티에 참여시키고 멤버십을 활성화하는 게 성과 측정 지표입니다.

그리고,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3. 상품 판매 (Commerce)

신뢰를 얻은 크리에이터를 무언가를 팔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크리에이터를 통해 구매한다는 것이 아니라, 크리에이터의 제품을 구매하는 것입니다.

게임, 온라인 클래스 수업, 디지털 콘텐츠, DTC 브랜드 등 제한이 없습니다.

디지털 제품은 특히 재생산 비용이 거의 없으므로 놀라운 마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이미 당신을 신뢰하는 사람들이므로 새 고객을 확보하는데 비용이 거의 필요치 않습니다.

예로, 카일리 제너(Kylie Jenner)를 들고 있습니다.

Kylie Jenner
source : Kylie Jenner in 73 Questions for Vogue in 2021

리얼리티 TV 스타인 그녀는 'Kylie Cosmetics'라는 DTC 브랜드를 론칭하고 불과 4년 만에 10억 달러의 사업을 일구어냈습니다. 그녀가 18세에 출시한 첫 번째 제품 Kylie Lip Kits은 1억 4천만 인스타그램 팔로워와 공유한 지 1분 만에 매진되었습니다.

4. 소유권 (Ownership)

마지막 단계는 소유권입니다.

마치 가족의 일원이 사업을 시작할 때 부자 삼촌이 돈을 빌려주는 것처럼 가장 참여도가 높은 청중과 재정적 이점을 공유하는 단계입니다.

킥스타터와 같은 크라우드 펀딩의 진화 버전입니다.

주로, 코인에 대한 얘기를 예로 들고 있습니다.

Portugal The Man
Portugal The Man Atlantic Maclay Heriot / Wikimedia Commons

Portugal. The Man이라는 그래미상 수상 아티스트는 Rally에서 자신의 PTM 코인을 발행했습니다.

열성적인 엘론 머스크 팬들이 도지 코인을 구매했던 것도 이와 비슷해보입니다. (엘론 머스크의 장난스러운 트윗이 엄청난 민폐를 끼치기는 했지만요.)


마무리하며...

크리에이터는 자신의 창작물을 가지고 단계별로 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걸 혼자 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줄 플랫폼과 기업이 속속 생겨나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자기 스스로의 CEO로서 방향성을 수립해 가능한 많은 시간을 투자할 필요는 있습니다.

다음에는 크리에이터의 다양한 수익모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