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2023년 유튜브 수익 창출 정책 업데이트. AI 영상 퇴출 경고?

by 스프라우트 2023. 5. 8.

유튜브가 6월 5일부터 YPP(Youtube Partner Program)의 재신청 정책이 새로이 업데이트된다고 밝혔습니다. AI를 이용한 대량 업로드 채널에 대한 경고일까요?

youtube-ypp-logo

2023년 유튜브 YPP 정책 변경 사항

유튜브는 파트너 프로그램 신청 및 재신청 절차가 올해 6월 5일부터 변경된다고 알려왔습니다. 변경 내용 및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Creator Insider의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reator Insider Youtube)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 신청 조건

유튜브의 수익 창출 조건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잘 아실 겁니다. 최근 쇼츠가 수익 창출을 지원하면서 수익창출 조건도 아래와 같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ypp-condition

  • 12개월 내에 구독자 1,000명과 및 유효 시청 시간 4,000시간 달성
  • 90일 내에 구독자 1,000명과 쇼츠 영상 조회수 1,000만 회 달성

수익 창출 조건을 달성하면 끝일까요? 유감스럽게도 그렇지 않습니다.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에 신청하여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유튜브는 유튜브의 정책 및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YPP 승인을 거절할 수 있습니다.

재신청 대기 시간 변경

지금까지는 거절당했을 경우 위반 사항을 수정한 후 30일이 지나면 다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6월 5일부터는 재신청이 까다로워집니다. 바뀐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첫 신청이 거부되었을 경우 : 30일 후 재신청 혹은 21일 내 항소
  • 두 번째 거부되었을 경우 : 90일 후 재신청 혹은 21일 내 항소

첫 번째 거부되었을 경우에는 기존과 동일하지만, 두 번째부터는 자그마치 석 달을 기다려야 합니다. 이 정도면 채널을 새로 만들어서 키우는 게 더 나을 정도라는 생각이 드네요.

YPP 승인을 이미 받았다면 상관없는 일일까요? 아래 사항을 보시죠.

  • YPP가 정지된 경우 : 90일 후 재신청 혹은 21일 내 항소

YPP 승인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정책 위반으로 정지된 경우는 재신청까지 마찬가지로 90일을 기다려야 합니다. (계약 해지, 휴면 또는 MCI 연결 해제로 인해 채널이 탈퇴한 경우는 제외). 채널 멤버십 일시 중지 기간 역시 90일에서 120일로 늘어납니다.

재신청 절차 변경 이유

유튜브 설명 영상에서는 신규 YPP 신청자의 검토 우선순위를 높이기 위해 정책을 변경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수락 가능성이 낮은 채널의 반복 신청으로 인해 신규 신청 건들에 대한 검토가 늦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익 창출 정책을 충족할 가능성이 높은 크리에이터들에게 집중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바꿔 말하면 두 번이나 거절당한 채널은 이미 고치기 힘든 심각한 문제가 있으니 검토해주지 않겠다는 말입니다.

유튜브에서 정책을 변경하는 배경에는 쇼츠의 부상과 생성 AI를 이용한 콘텐츠 대량 생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에서도 유튜브가 수익을 분배하는 이유는 시청자에게 가치를 주는 독창적이고 진정성 있는 콘텐츠를 만드는 크리에이터에 대한 보상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재사용 및 반복적인 콘텐츠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무분별하게 복사된 쇼츠 콘텐츠

현재 쇼츠 콘텐츠는 틱톡이나 다른 플랫폼의 영상을 따와서 만들어진 경우가 많습니다. 심지어는 자신이 만든 영상도 아닙니다. 유튜브는 쇼츠에 대한 수익 배분을 시작한 이후 이런 영상에 대해서는 수익을 배부하지 않겠다고 명시한 바 있습니다. 유튜브는 원래부터 다른 사람의 콘텐츠를 복사하거나 일부만 변경해서 올리는 행위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AI를 이용해 계속 재사용 콘텐츠들을 적발하고 있습니다. 복사된 콘텐츠로 구독자와 시청 시간을 채운다고 해도 수익 창출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보입니다.

AI로 자동 생성한 콘텐츠

또 다른 이유는 생성 AI 때문입니다. ChatGPT 및 이미지 생성 AI, AI 편집기뿐 아니라 콘텐츠 제작을 쉽게 하는 수많은 AI 서비스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극단적인 경우는 ChatGPT에서 유튜브 스크립트를 생성한 후 다른 어떤 작업도 없이 스크립트만 업로드하면 영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도 있습니다. 유튜브 약관에는 이미 템플릿 방식의 대량 생산이나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만들어진 콘텐츠에 대한 수익 창출 제한 문구가 있습니다. 과연 구글이 AI가 생성한 영상을 얼마나 잘 찾아낼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만 이 부분은 구글도 큰 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구글과 유튜브의 생존이 달려있는 문제입니다. (유튜브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뉴스 기사에 따르면 생성 AI를 이용해 가짜 뉴스를 양산하는 콘텐츠 팜 사이트가 50여 개에 이르고 있으며 이들 중 절반이 구글 광고를 통해 수익을 벌고 있다고 합니다. 구글로서는 창피한 게 문제가 아니라 광고주의 신뢰가 달려있어 이런 생성 AI를 이용한 글과 영상을 최소한 광고주들로부터 지킬 필요가 있습니다.)

마치며

유튜브의 바뀐 정책이 일부 유튜버들에게는 가혹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YPP 승인 거절 후 한번 더 거절당하면 3개월을 기다려야 한다니요. 하지만 이미 정책이 공지된 만큼 유튜브로 수익 창출을 원하시는 유튜버라면 재신청 시 좀 더 철저히 거절 사유에 해당하는 위반 사항을 수정한 후 재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가볍게 생각하시다가 큰 낭패를 볼 수 있으니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