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3

article_rep_thumbnail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1,000명의 진짜 팬 이론 1,000 True Fan 이론이라고 들어보셨나요? 1,000 True Fans 이론 IT 잡지인 와이어드의 전 편집장이자 미래학자인 케빈 켈리가 2008년에 기고한 글입니다. 그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창작자 즉 작품을 창작하는 사람은 골수팬 1,000명만 있으면 먹고 산다." 창작자는 예술가, 음악가, 사진사, 공예가, 공연가, 애니메이션 창작자, 디자이너, 영화 제작자, 작가뿐 아니라 모든 분야의 크리에이터를 말합니다. 열성 팬이란? 이 글에서 말하는 True Fans 이란, 진정한 팬. 즉, 크리에이터가 생산하는 모든 것을 살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유튜브의 수익 창출 승인이 1,000명의 구독자, 4,000시간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해 마치 구독자가 열성팬이라고 오해할 .. 2022. 2. 25.
article_rep_thumbnail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크리에이터의 기본 마음가짐 Creator Economy라는 말을 1년쯤 전에 듣게 되었습니다. 창작자 경제? 창조경제 같은 건가? 저와는 관계없는 일이라고 생각했죠. 올해 들어 Creator Economy라는 화두가 더 뜨거워지는 느낌입니다. 이대로 있어도 되는 걸까? 그동안 블로그도 유튜브도 하다가 접은 내가 과연 다시 할 수 있을까?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을지 고민하며 크리에이터의 조건, 아니 소양에 대해 생각해 봤습니다. 크리에이터의 조건 단순히 블로그 글 하나를 올리는데도 품이 제법 듭니다. 반면 정말 운이 좋지 않은 한 인기를 얻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시중에 블로그 최적화나 누구나 따라 하면 파워블로거가 될 수 있다는 글이나 영상이 많지만 그걸로 성공했다는 사람은 거의 없죠. 성공한 크리에이터들은 어떤 조건을 가.. 2022. 2. 24.
article_rep_thumbnail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등장 배경 크리에이터라는 말이 대중화된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단순히 크리에이터가 아니라 그 뒤에 이코노미란 말이 붙어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어떻게 등장하게 된 용어일까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크리에이터와 이코노미의 합성어입니다. 단어만 봐도 금방 감이 오시죠? 크리에이터가 직접 수익을 창출하는 경제 현상을 말합니다. 다른 말로는 팬덤 이코노미라고도 합니다. 기존에는 광고주가 플랫폼에 광고를 의뢰하면 플랫폼이 크리에이터들에게 광고비 일부를 나눠주는 수익 모델이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크리에이터가 광고 수익에만 얽매이지 않고 대중으로부터 직접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여러 통로들이 생겨났습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이렇게 크리에이터가 중심이 되어 동작하는.. 2022. 2. 24.